1. 한국어학

1-1 한국어문법론(Theory of Korean grammar)

외국어와 한국어의 문법의 차이를 이해하여 한국어만이 지닌 문법의 독특한 문법체계를 익히고, 외국인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한다.

1-2 국어학개론(Introduction to Korean Linguistics)

언어학의 이론과 체계를 바탕으로 하여 한국어 음운론, 의미론, 통사론, 한국어의 계통 방언 등을 고찰한다. 다른 나라의 언어와 차별화될 수 있는 한국어의 과학성과 창조성을 이해한다.

1-3 한국어사(History of Korean Language)

한국어가 생겨난 후 현대에 이르기까지 변천된 모습을 기술한 역사를 말한다. 결승문자를 비롯해서 향찰시대(신라, 고려) 한자어 시대, 한글(훈민정음)시대 국한문 병용시대, 한글전용시대의 변천을 사적으로 고찰한다.

1-4 한국어어문규범(Korean Practice Grammar)

한국어 문법을 실용적 관점에서 살펴보는 분야로서 특히 한글맞춤법과 표준어 규정을 기본으로 외래어 표기법, 한글의 로마자 표기법 등에 관해서 구체적으로 알아본다.

2. 일반언어학 및 응용언어학

2-1 한국문화교육론(Studies in Korean Culture)

한국문화의 양상을 검토하고 세계 속에서 한국 문화가 지닌 위상을 재고한다. 한국문화를 연구하여 한국어의 실체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

2-2 대조언어학(Studies in Contrastive language)

한국어와 계통을 달리하는 다른 언어와의 음운적, 형태적, 통사적 차이점을 연구하며, 특히 두 언어의 다양한 언어학적 상이점을 학습하여 한국어 학습 및 교수에 활용한다.

2-3 사회언어학(Sociolinguistics)

사회언어학의 성립 배경과 그 언어학적 의의를 살펴보고, 지금까지 연구된 기존의 사회언어학적 연구 결과를 개괄적으로 다룬다. 그리하여 언어구조 및 언어사용이 화자 또한 그가 속해 있는 집단의 사회적 위치와 어떤 관계가 있으며, 또한 그러한 관계는 어떻게 체계화시킬 수 있는가를 모색한다.

3. 외국어로서의한국어 교육론

3-1 한국어교육개론(Introduction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한국어교육의 연구 대상과 방법, 영역 등에 대한 학문적 체계를 이해하는 것을 기본적인 목표로 하여 이의 실현을 위해 요구되는 제반 원리와 연구 영역 등 한국어교육의 실천과 연구 등에 필요한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개념과 방법들을 다룬다.

3-2 한국문화교육론(Studies in Korean Culture)

한국문화의 양상을 검토하고 세계 속에서 한국 문화가 지닌 위상을 재고한다. 한국문화를 연구하여 한국어의 실체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

3-3 한국어교육정책론(Educational Policies of Korean Language)

정부가 특정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한국어 교육 대상에게 행하는 제반 행정 행위인 한국어교육 관련 정책 수립 및 추진 과제, 평가 등에 관한 제반 현상 등을 이해한다.

3-4 한국어발음교육론(Studies in Korean Ponetics and Phonology)

한국어의 특징에 따른 발음교육 방안과 활동 유형을 구체적으로 모색해 보도록 하며 학습자들이 실제 발음 수업 모형을 구성해 발표해 봄으로써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한국어 발음을 교수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도록 한다.

3-5 한국어교육과정론(Studies in Korean Curriculum)

한국어 교육의 교육과정에 관한 제반 이론과 실제의 교육과정 비교 및 평가 방법론 등을 배우고, 실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쓰이는 교육과정을 배운다.

3-6 한국어교재론(Theory of Korean Teaching Materials)

한국어교수법과 관련하여 교재의 역할의 제 측면을 살펴보고, 한국어 교육에 소용되는 교재의 분석은 물론 한국어 교육의 목적에 따른 바람직한 교재의 효과적인 개발 및 평가 방법에 대한 방안을 연구한다.

3-7 한국어표현교육법(Studies in Korean Expression)

한국어 교육 중 말하기와 쓰기 부문에 관한 이론과 실제에 대해서 알아본다. 한국어 화법을 비롯하여 말하기와 쓰기의 기본을 가르치는 방법을 연구한다. 한국어와 외국어의 말하기와 쓰기의 차이점과 존대법 등의 설명에 중점을 두어 효과적인 한국어 표현법을 이해한다.

3-8 한국어어휘교육론(Studies in Korean Lexicology)

한국어 어휘 체계와 어휘 특성 그리고 한국어 어휘의 다수를 차지하는 한자어와 개별 한자어의 특성을 이해한다.

3-9 한국어이해교육법(Studies in Korean Comprehension)

한국어 교육 중 듣기와 읽기 부문에 관한 이론과 실제에 대해서 알아본다. 한국어 화법을 비롯하여 듣기와 읽기의 기본을 가르치는 방법을 연구한다. 한국어와 외국어의 듣기와 읽기의 차이점 등의 설명에 중점을 두어 효과적인 한국어 이해 방법을 연구한다.

3-10 한국어평가론(Theory of Korean Evaluation)

한국어 교육의 교육평가에 관한 제반 이론과 실제의 평가 방법론 등을 익히고, 실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한국어 평가의 실질적인 방법을 체계적으로 배운다. 교육과정의 최종 단계이자 새로운 교육의 출발점인 교육평가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여 한국어 평가론에 대한 인식의 필요성을 갖춘다.

3-11 한국어문법교육론 (Studies in Korean Grammar)

한국어 교과서의 문법 내용 분석을 통한 한국어 문법의 형성 및 현황과 현대 한국어의 형태 구조 및 통사 구조를 이해하여 한국어 문법 교육의 효율적 방안 모색을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4. 한국문화

4-1 한국의현대문화(Korean Modern Culture)

현대의 한국과 한국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 한국 사회 속에 내재하고 있는 한국의 현대 문화에 대한 이해를 한다.

4-2 한국전통문화현장실습(Korean Practice in Korean culture)

한국의 전통문화를 보다 정확하게 알기 위해 민속마을이나, 사찰, 향교, 전통 다례원 등을 방문하고 보고서를 작성한다. 외부기관과 협약하여 위탁교육도 병행한다.

4-3 한국문학의이해(Introduction to Korean Literature)

한국의 주요 문학 작품에 대해 이해한다.

5. 한국어교육 실습

5-1 한국어교육실습(Practice in Teaching Korean)

한국어를 실제로 강의하기 위해 현장에서 접할 수 있는 여러 교육적 상황을 실행해 보고 한국어교육원 등에서 직접 강의한다.

6. 필수이수과목 외

6-1 한국어신문강독(Korean Newspaper Reading)

한국 신문(온라인 및 인쇄매체)에 게재된 정치·문화·사회 등의 분야와 관련된 내용을 읽고 그 뜻을 이해할 수 있다.

6-2 한국어토론과화법(Korean Discussion and Speech)

말하기의 고급 단계인 토론과 다양한 말하기의 이론과 실제를 활용하는 방법 등을 익힘으로써 표현 능력 중의 하나인 한국어 말하기 능력을 극대화한다.

6-3 인문·사회한국어(Korean Language for Academics in Humanities)

한국어와 전공과정을 연계하는 전공 입문과정으로서 전공 이수 수월성 제고를 위한 인문학과 사회학의 기초(전공 용어 등)를 이해한다.

6-4 한국어문장연습(Practice of Korean Sentence)

한국어 작문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본적인 한국어 글쓰기 방법을 익혀 작문 능력 기능 제고와 글쓰기의 실제를 연습한다.

6-5 한국어어휘연습(Practice of Korean Vocabulary)

한국어 어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본적인 한국어 어휘 학습 및 관용어, 외래어, 유의어, 반의어, 동의어 등을 학습하여 한국어 구사능력에 필요한 어휘력을 기른다.

6-6 한국어문형연습(Practice of Korean Pattern)

한국어 기본 문장 형태를 연습하여 기본 문장의 확장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한국어 문형 확장 기능을 연습한다.

6-7 언어학개론(Introduction to Linguistics)

언어학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목적으로, 제 학문의 실용적 적용의 이론적 밑바탕이 된 언어에 대한 이해를 함으로써 인간문화에 대한 해석을 폭 넓게 하며, 나아가 삶의 질을 풍요롭게 하는 계기를 찾는다.

6-8 한국어와컴퓨터(Korean Language with Computer)

한국어를 사용하여 제출하는 각종 보고서를 ‘?글’ 등의 문서작성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작성할 줄 안다.

6-9 해외인턴쉽Ⅰ(Overseas InternshipⅠ)-인턴쉽I

해외 산업체에서 전공 관련 현장 업무를 미리 체험하고 실습함으로써 우수한 전공 능력을 바탕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6-10 해외인턴쉽Ⅱ(Overseas InternshipⅡ)-인턴쉽II

해외 산업체에서 전공 관련 현장 업무를 다양하게 체험하고 실습함으로써 우수한 전공 능력을 바탕으로 심화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6-11 경영·무역한국어 (Korean Language for Academics in Business & Trade)

한국어와 전공과정을 연계하는 전공 입문과정으로서 전공 이수 수월성 제고를 위한 경영학과 무역학의 기초(전공 용어 등)를 이해한다.

6-12 한국어능력시험특강II (Special Lecture on TOPIKII)

국제적인 한국어능력 시험에 대비하여 전반적인 한국어실력을 향상하기 위해 개설된 강좌로 최신 기출문제를 바탕으로 다양한 종류의 읽기 자료를 읽고 어휘의 뜻을 문맥 속에서 파악하는 연습을 하게 된다. 또한 듣기 능력 향상을 위해 선별된 문제를 풀게 된다.

6-13 한국어어휘문법연습 (Practice of Korean Vocabulary & Grammar)

한국어 어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본적인 한국어 어휘 학습과 문법 학습 및 관용어, 외래어, 유의어, 반의어, 동의어 등을 학습하여 한국어 구사능력에 필요한 어휘력 및 문법능력을 기른다.

6-14 한국어통번역론I

본 강좌는 한중 통, 번역의 이론과 방법을 익히는 데 중점을 두고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실전 능력을 다지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어·중국어 통, 번역 연습을 중심으로 번역 기술을 익히고 표현 능력을 향상 시킨다. 우선적으로 순차통역, 동시통역 등 통역이론 및 연습을 익힌다. 또한 어휘, 문구, 텍스트 등 영역별 로 뉴스, 사설, 논평 등 문체와 내용을 통해 강의를 진행하여 학습자의 실전 연습을 강조한다.

6-15 한국어통번역론II

본 강좌는 한중 통, 번역의 이론과 방법을 익히는 데 중점을 두고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실전 능력을 다지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어·베트남어 통, 번역 연습을 중심으로 번역 기술을 익히고 표현 능력을 향상 시킨다. 우선적으로 순차통역, 동시통역 등 통역이론 및 연습을 익힌다. 또한 어휘, 문구, 텍스트 등 영역별 로 뉴스, 사설, 논평 등 문체와 내용을 통해 강의를 진행하여 학습자의 실전 연습을 강조한다.

6-16 한국어강독작문연습(Practice of Korean Reading & Writing)

본 강좌는 한국어 이해 능력과 작문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과학과 발명, 인물, 예술과 삶, 음식과 요리, 기호와 상징 등 영역을 주제로 삼아 한국어로 된 텍스트를 읽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강의는 한국어 중-고급 수준인 외국인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강의 위주로 하며 미디어/ppt 자료를 활용하고, 읽기 텍스트 주제에 관련된 글쓰기 연습하는 방식으로 수업을 진행한다.